Virtuals 대규모 재매입 영향은 얼마나 될까?
作者:Ismay,BlockBeats
오늘 아침, Virtuals는 후속 스테이킹(post-bonding) 거래 수익으로 누적된 12,990,427.85개의 $VIRTUAL을 향후 30일 이내에 시간 가중 평균 가격(TWAP)을 기반으로 생태계 내 관련 대리 토큰을 재구매하고 소각하는 데 사용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재구매 수량 상위에 있는 GAME, CANVO, AIXBT 등의 토큰은 모두 20% 이상의 상승폭을 기록했습니다.
동시에, Virtuals는 가치 누적 메커니즘을 업데이트했으며, 주요 변경 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후속 스테이킹 세금 분배: 30%는 대리 생성자(Agent Creators)에게, 20%는 대리 연합(Agent Affiliates)에게, 50%는 대리 하위 DAO(Agent subDAO)에 귀속되어 향후 거버넌스 결정의 자금 예비로 사용됩니다;
생성자 보상 수령 방식: 보상은 대리 배포자의 지갑으로 직접 전송됩니다.
대리 연합(Agent Affiliates) 메커니즘: 다양한 거래 플랫폼이나 인터페이스(예: 텔레그램 봇)와 Virtuals 생태계 간의 수익 공유를 실현하며, 플랫폼이 대리 연합이 되면 거래를 촉진하여 발생한 후속 스테이킹 세금의 20%를 받게 되어 커뮤니티와 후속 프로젝트 계획을 장려합니다.
왜 이러한 업그레이드가 필요하며 그 영향은 무엇인가
모든 Virtual 토큰은 $VIRTUAL을 페어 자산으로 하여 유동성 풀을 생성합니다(예: AIXBT/VIRTUAL). 플랫폼은 거래 수수료를 통해 많은 $VIRTUAL을 수익으로 축적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수익은 직접 매도할 수 없으며, 그렇지 않으면 시장 공황을 유발하고 생태계를 파괴할 수 있습니다. $VIRTUAL의 가격 하락은 그와 연동된 대리 토큰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또한, 이 자금을 적절히 처리하지 않으면 플랫폼은 이 부분의 사용 불가능한 수익으로 인해 막대한 세금 부담을 안게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플랫폼은 이 수익을 활용하기 위해 생태 토큰을 재구매하고 소각하는 방식을 선택했습니다.
혜택을 받는 두 종류의 토큰
1. 거래 수수료가 시가총액에 비해 높은 토큰
재구매 금액은 거래 수수료의 누적 금액에 따라 결정되므로, 전체 거래량이 크지만 시가총액이 상대적으로 낮은 토큰이 더 큰 비율의 인센티브를 받게 됩니다.
예를 들어, MISATO와 같은 토큰은 재구매 소식으로 인해 크게 상승했습니다.
2. 대부분의 유동성이 비 VIRTUAL 페어 풀에 있는 토큰
이러한 토큰의 가격 단위(VIRTUAL)는 매도 압력의 영향을 덜 받지만, 여전히 재구매로 인한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AIXBT는 약 250만 달러의 인센티브를 실제로 받았지만, 주요 유동성이 다른 풀에 있어 VIRTUAL의 매도 압력의 영향을 덜 받습니다.
피해를 입는 집단
1. $VIRTUAL 보유자
4800만 달러의 매도 금액은 상당히 큽니다. 이전에 $VIRTUAL의 가격은 수수료의 지속적인 누적 덕분에 상승했습니다(상당히 4800만 달러의 가치가 축적됨).
그러나 이제 이러한 수수료는 cBTC로 전환되어 시장에 매도 압력을 가하기 시작합니다. $VIRTUAL의 상승을 이끌었던 긍정적인 순환이 이제 부정적인 순환으로 반전되었습니다.
2. VIRTUAL 페어 풀만 있는 또는 거래량이 낮은 토큰
이러한 토큰은 인센티브를 적게 받지만, $VIRTUAL 매도로 인한 가격 압력을 견뎌야 합니다. 새로 발행된 토큰은 누적된 수수료 수익이 더 적기 때문에 특히 심각한 영향을 받습니다.
온체인 분석가 hitesh.eth는 30일 시간 가중 평균 가격(TWAP) 재구매 및 소각 분배를 기반으로 한 상위 50개 토큰을 분석한 결과, 일부 토큰의 재구매 압력이 현재 시가총액을 초과하는 경우도 있음을 발견했습니다.
커뮤니티는 이번 재구매를 어떻게 보고 있나?
이번 업그레이드는 Virtuals 생태계에 더 강한 가치 지지를 가져왔다고 할 수 있지만, 커뮤니티는 업데이트된 재구매 및 분배 모델에 대해 이의를 제기했습니다. 일부 의견은 Virtuals가 왜 $VIRTUAL을 매도하기로 선택했는지, 대신 이러한 토큰을 직접 소각하지 않았는지에 대한 것입니다. "이러한 행동은 보유자와 팀의 최선의 이익에 반하며, 팀이 4800만 달러의 매도 압력을 자발적으로 만들어냈습니다. 생태계에 대해 일부 인센티브가 유동성이 주로 외부에 있는 대리 토큰으로 흘러가면서 자금이 생태계를 이탈하게 됩니다."
암호화 KOL Liam은 Virtuals가 수수료를 cBTC로 전환하는 것이 올바른 방향이라고 말했지만, 플랫폼은 수수료를 대폭 줄여 생태계의 과도한 추출을 줄여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또한, 토큰의 상장 시간에 따라 수수료 분배를 표준화하여 신규 및 기존 토큰이 공정한 출발점에 서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하지만 "재구매가 거대한 매도 압력을 가져올 것"이라는 의견은 사실이 아니라고 반박되었습니다. 왜냐하면 이러한 Agent 토큰은 $VIRTUAL과 페어로 묶여 있어 $VIRTUAL로 Agent 토큰을 구매해도 어떤 $VIRTUAL도 매도하지 않으며, 단지 $VIRTUAL을 유동성 풀에 추가하는 것뿐이기 때문입니다. 만약 유동성 풀이 WETH로 가격이 매겨진다면, $VIRTUAL은 먼저 WETH로 교환되겠지만, 이번 경우는 그렇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이는 간접적인 매도 압력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유동성 풀 내의 $VIRTUAL 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토큰의 가치는 상승할 것이고, 보유자는 더 많은 $VIRTUAL을 매도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나 유동성 풀의 특성과 가격 영향, 그리고 이러한 토큰의 유동성이 본래 낮기 때문에 모든 토큰을 직접 매도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Leftcurve DAO의 구성원 mcSleuth는 이번 발표가 직접적인 매도 압력을 가져오지 않을 것이며, 간접적인 매도 압력은 거의 무시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VIRTUAL의 시가총액이 360억 달러이고 유동성이 매우 높다는 점을 고려할 때 더욱 그렇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