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학 원리로 NFT 로열티 논쟁 해석하기

체인 찻집
2022-09-08 09:28:38
수집
Sudoswap은 로열티 전쟁을 일으켰고, 지금도 끝나지 않았습니다.

작성자:북진,체인 차관
Sudoswap은 로열티 전쟁을 촉발했으며, 지금도 끝나지 않았다.
원인은 간단하다. 상승장에서는 FOMO 감정이 가득 차 있으며 모두 몇 배로 수익을 내는 것에만 집중하고, 이 세 가지 작은 로열티에는 관심이 없다. 심지어 로열티는 본래 NFT 컬렉션이 항상 홍보해온 장점이지만, 하락장에서는 활발한 거래를 위해 로열티를 두고 거래 플랫폼들이 경쟁하게 되었고, 실제로 효과를 보고 있다.

반대자들은 경제적 측면에서 승리했을 뿐만 아니라 이 논쟁을 도덕적 고지로 끌어올려 절대적인 우위를 점하고 있다.

물론, 나는 로열티의 열렬한 지지자는 아니다. 사실 나는 현재 시장에서 유통되고 있는 99.99% 이상의 NFT 컬렉션은 로열티를 설정해서는 안 된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이러한 NFT 컬렉션은 본래 가치가 없기 때문이다. 나는 NFT 컬렉션과 시장을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NFT 컬렉션 시장에 대해 논의하는 것은 아무 의미가 없다고 느낀다. 이는 마치 달팽이의 뿔 위에서의 전쟁과 같다.

《장자》에는 이런 작은 우화가 기록되어 있다. 달팽이의 왼쪽 더듬이에는 촉씨라는 나라가 있고, 오른쪽 더듬이에는 만씨라는 나라가 있다. 촉씨와 만씨 두 나라는 종종 땅을 두고 전쟁을 일으키며, 수만 명의 시체가 쌓이고, 패전한 병사들이 돌아오는 데 15일이 걸린다. 이 전쟁은 크고 잔혹하지만, 달팽이의 뿔 위에서 벌어지기 때문에 우리에게는 아무런 의미가 없다.

이 글은 NFT 컬렉션의 가치를 평가하려는 것이 아니라, 경제학 원리의 관점에서 NFT 로열티가 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려는 것이므로, 이는 시장 자체에 대한 과학적 글이다. 이 글이 작은 농민 의식과 계획 경제의 편견이 발산하는 논쟁을 희석할 수 있기를 바란다(이런 편견은 일상생활에서 흔히 발생하지만, NFT 분야에서 발생하는 것은 정말로 놀랍다).

NFT 컬렉션 시장의 기본 운영 원리는 모든 시장과 통한다. 가장 기본적인 것은 공급과 수요이다. 많은 소비자와 생산자가 특정 시간에 모이면 시장이 형성된다. NFT 컬렉션 시장은 최소한 다음 원칙을 따를 것이다:

1. 완전 경쟁 시장에서는 어떤 구매자나 판매자가 가격을 결정할 수 없으며, 시장 가격은 완전히 게임의 결과이다.

투자자들은 자연스럽게 구매자의 입장에서 시장의 모든 판매자를 불가침의 이익 연합으로 상상하며, 그들이 공급을 통제하므로 가격도 통제한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시장은 단순히 구매자와 모든 판매자 연합 간의 게임만이 아니다. 사실 구매자 간에도 경쟁(입찰)이 존재하고, 판매자 간에도 더 치열한 경쟁이 있다(예: OpenSea와 X2Y2 간의 경쟁). 최종 시장 가격은 시장의 모든 사람의 공급과 수요가 수많은 거래에서 게임을 통해 결정된다.

즉, NFT 컬렉션 시장에는 특정 거래 플랫폼(또는 거래 플랫폼 연합)이 구매자에게서 돈을 강탈해야 할 필요가 없다. 만약 이 거래 플랫폼의 가격이 불합리하다면, 구매자는 자연스럽게 가격이 합리적인 거래 플랫폼으로 이동할 것이다. 우리는 시장에 권한을 부여해야 하며, 일률적으로 그것이 합리한지 아닌지를 판단해서는 안 된다.

2. 독점 시장과 완전 경쟁 시장의 차이는 진입 메커니즘에 있다.

투자자들은 "완전 경쟁 시장"의 개념이 없으며, 시장을 독점 시장과 동일시하여 도덕적 비판을 펼친다. 그래서 그들은 반드시 많은 독점 시장의 예를 들어서 이전 원칙을 반박할 것이다.

표면적으로 보면, 독점 시장은 한 곳 또는 소수의 기관이 시장 공급을 결정하고 시장 통제권을 가진다. 이렇게 보면 NFT 컬렉션 시장은 완전히 독점 시장의 정의에 부합한다.

하지만 독점 시장인지 여부는 그 진입 메커니즘에 달려 있다. 예를 들어, 한 마을에 작은 가게가 하나만 있다면, 그 가게가 마을의 소매 시장을 독점한다고 단정할 수 없다. 우리는 구체적으로 분석해야 한다. 이 마을이 너무 작아서 두 개의 작은 가게를 지탱할 수 없는 것인지, 아니면 그 가게가 마을의 패권을 쥐고 있어 다른 사람들이 가게를 열지 못하게 하는 것인지.

마찬가지로, 오늘날 NFT 컬렉션 시장의 구도를 보고 이것이 독점 시장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적어도 지금 이 시장은 개방 경쟁적이며, 단지 OpenSea가 독주하고 있을 뿐이다.

3. 구매자에게 세금을 부과하는 것과 판매자에게 세금을 부과하는 것은 효과적으로 아무런 차이가 없다.

로열티는 실제 지불 가격에 내재되어 있다. 구매자에게 부과하든 판매자에게 부과하든, 최종 거래 가격에서 일부 돈을 추출하는 것이며, 실제로 거래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구매자가 실제로 지불하는 돈과 판매자가 실제로 받는 돈이다.

예를 들어, 집을 살 때의 중개 수수료는 구매자에게 부과하든 판매자에게 부과하든, 또는 양쪽 모두에게 부과하든 관계없이 아무런 차이가 없다. 구매자는 자신의 총 지출을 고려하고, 판매자는 자신이 실제로 받는 총 수입을 고려하여 최종적으로 상대적으로 균형 잡힌 가격이 형성된다. 또 다른 예를 들자면, 공동 면적이 있든 없든, 집을 사는 사람의 실제 지불 가격은 그렇게 높다. 유일한 차이는 공동 면적을 없애면 애매한 장부가 줄어든다는 것이다.

따라서 X2Y2는 구매자에게 제로 로열티 옵션을 제공하지만, 사실 구매자에게 로열티를 면제하든 판매자에게 면제하든 효과적으로는 아무런 차이가 없다. 모두 구매자가 더 적은 돈을 지불하고 판매자가 더 많은 돈을 받게 되는 것이다.

4. 세금 부담이 구매자에게 전가되느냐 판매자에게 전가되느냐는 누가 가격에 더 민감한가에 달려 있다.

이전 항목은 로열티가 매도자와 매수자가 공동으로 부담해야 한다고 설명했지만, 구체적으로 어떤 비율로 부담할지는 공급과 수요 시장의 탄력성에 따라 달라진다. 즉, 구매자와 판매자 중 누가 가격에 더 민감한가에 따라 실제 부담하는 로열티가 달라진다.

예를 들어, 양말과 같은 이익이 매우 낮은 제조업에서는 제조업체의 이익이 몇 센트에 불과하므로 가격 변동에 더 민감하다. 그들은 실제로 받는 돈이 특정 선을 넘도록 보장해야 하지만, 소비자는 몇 센트 또는 몇 푼이 오르는 것에 신경 쓰지 않기 때문에, 양말세가 추가로 부과된다면 이 세금의 대부분은 소비자가 부담하게 된다.

하지만 사치품은 다르다. 예를 들어, 요트 회사의 시장 공급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이지만, 요트를 구매하는 소비자는 탄력적이다(그들은 고급차, 별장, 비행기 등 많은 대체 제품이 있다). 따라서 추가 세금이 부과되면 요트 가격이 크게 오르지 않고, 요트 회사가 세금 부담을 지게 된다.

NFT 컬렉션 시장에서는 품목 간의 차이가 너무 크기 때문에 구체적으로 분석해야 한다. 하지만 기본적으로 품목에 가치가 있다면 소비자는 해당 품목을 얻기 위해 더 많은 로열티를 부담할 의향이 있으며, 가치가 낮다면 로열티가 그들을 더욱 멀어지게 할 것이다.

5. 세금이 존재하는 한, 불필요한 손실이 발생한다.

세금의 존재는 구매자가 더 많은 돈을 지불하게 하며, 시장의 구매자는 구매를 줄이고, 판매자가 받는 돈은 줄어들어 시장의 판매자는 판매를 줄이게 된다. 따라서 세금은 거래 행동을 억제하고, 줄어든 거래는 불필요한 손실이 된다.

불필요한 손실의 크기는 시장의 탄력성에 의해 결정된다. 공급과 수요의 탄력성이 클수록 불필요한 손실도 커진다. NFT 컬렉션 시장은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 탄력성이 매우 크기 때문에 로열티의 존재는 억제되는 거래량도 매우 크다.

결론

  1. NFT 컬렉션 시장의 로열티 존재는 거래를 억제하며, 로열티를 없애면 거래를 자극할 수 있다.

  2. NFT 컬렉션의 로열티는 직접 세금으로 적용해서는 안 된다. 로열티는 창작자에게 직접 지급되며, 수집은 문화 소비의 일종이다. 로열티를 비판하는 사람들은 수집품을 금융 상품이나 소비품과 완전히 동일시하여 로열티 존재의 합리성을 부정하고 있다.

  3. NFT 컬렉션 간의 차이는 종 간의 차이보다 더 크기 때문에 "로열티가 NFT 컬렉션에 적합한가"는 가짜 명제이다. 오직 특정 시리즈의 NFT 컬렉션이 로열티에 적합한지 여부만이 문제이다.

  4. 구체적으로 로열티를 없앨지 여부는 시장에 판단을 맡겨야 하며, 도덕에 맡겨서는 안 된다(여기서는 일반 수집가뿐만 아니라 창작자에게도 해당된다). 이미 암호화폐 산업에 들어왔으니, 시장의 법칙과 가치 창출을 존중하자.

체인캐처(ChainCatcher)는 독자들에게 블록체인을 이성적으로 바라보고, 리스크 인식을 실제로 향상시키며, 다양한 가상 토큰 발행 및 조작에 경계해야 함을 상기시킵니다. 사이트 내 모든 콘텐츠는 시장 정보나 관련 당사자의 의견일 뿐이며 어떠한 형태의 투자 조언도 제공하지 않습니다. 만약 사이트 내에서 민감한 정보를 발견하면 “신고하기”를 클릭하여 신속하게 처리할 것입니다.
banner
체인캐처 혁신가들과 함께하는 Web3 세상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