zkEVM 테스트넷이 출시되었습니다. 경험은 과연 어떨까요?
저자: 리둥
많은 사람들이 ZK Rollup이 이더리움 메인넷 및 기타 Layer 1 확장성 문제를 해결하는 핵심 요소라고 생각하지만, 이 기술의 실제 보급 주기에 대해서는 비관적인 시각이 많습니다. 많은 사람들은 최소 1~2년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나 ZKR의 선두주자인 zkSync는 어젯밤 2.0 EVM 테스트넷을 출시하며 ZKR의 발전 속도를 증명했습니다.
이번 zkEVM은 대부분의 이더리움 애플리케이션 개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개발되었으며, 개발자에게 이더리움 메인넷에서 구현할 수 없는 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할 수 있는 실험 공간을 제공합니다. 가장 주요한 업그레이드는 ECDSA 서명에 대한 네이티브 지원으로, 사용자는 zkSync의 2층 네트워크에서 이더리움 메인넷과 동일한 주소를 직접 사용할 수 있습니다.
프로그래밍 언어, 암호화 원시 및 API 프로토콜에 대한 지원은 개발자에게 많은 시간을 절약해줍니다. Solidity 0.8.x 프로그래밍 언어에 대한 지원 덕분에 많은 애플리케이션이 거의 코드 변경 없이 zkSync에 직접 배포할 수 있습니다; API는 이더리움과 완전히 호환되어 기존 인덱서 및 리소스 관리기와의 원활한 통합을 허용합니다; 보안 헬멧 플러그인을 추가하여 개발자가 zkSync에서 스마트 계약을 쉽게 테스트하고 개발할 수 있도록 보장합니다.
또한, zkSync 2.0은 Layer 1과 Layer 2 간의 스마트 계약 메시지 전송을 지원하여 개발자가 다양한 데이터를 이더리움 메인넷에서 zkSync의 스마트 계약으로 전송하여 실행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렇게 많은 업그레이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반 사용자에게는 구체적인 인식을 갖기 어렵습니다. 직접 경험해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먼저, https://portal.zksync.io에 접속하여 우리의 Metamask 지갑을 연결합니다.
지갑에 Goerli 테스트넷의 ETH 토큰이 없다면 왼쪽의 "Faucet" 옵션을 클릭하여 여기서 받을 수 있습니다. 요청이 너무 많아 받을 수 없다면 https://goerli-faucet.mudit.blog에 가서 ETH를 받을 수 있습니다(리둥 주, 본문에서 언급된 ETH는 모두 Goerli 테스트넷의 ETH 토큰입니다).
ETH를 얻은 후, 우리는 "Deposit" 옵션으로 가서 이를 zkSync의 테스트넷으로 전송할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은 약 1~2분 정도 소요되며, 가스 비용이 실제로 매우 저렴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ETH를 zkSync로 전송한 후, 우리는 Layer 2에서 자산을 이동할 수 있습니다. 페이지에서 zkSync Testnet으로 전환하라는 메시지가 표시되며, 새로운 zkSync는 ECDSA 서명을 지원하므로 이더리움 메인넷의 지갑 주소를 직접 사용할 수 있습니다. "Transfer" 옵션을 클릭하고 목표 계정의 이더리움 메인넷 주소를 입력하면 자산을 전송할 수 있으며, 수수료는 기본적으로 제로입니다.
ETH를 Layer 1 테스트넷으로 다시 전송하려면 "Withdraw" 옵션을 선택한 후 작업을 완료하면 됩니다.
마지막으로 "Tx Search" 옵션을 선택하고 거래의 해시 값을 입력하면 zkSync 테스트넷에서 자신의 기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상으로 zkSync Portal의 기본 기능을 살펴보았습니다. 자산 이동 단계는 매우 간단하고 비용도 극히 저렴하여, 자산을 Layer 2로 이동한 후에는 체인 상의 행동 비용을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통로는 단지 ZKR 세계에 들어가는 복도일 뿐, 우리는 이 새로운 대륙을 더 깊이 경험할 수 있을까요?
zkSync의 EVM 테스트넷이 출시된 지 얼마 되지 않아, Mute.io도 해당 테스트넷을 기반으로 한 베타 버전을 출시했습니다. Mute.io는 ZK-Rollup 2층 기술을 기반으로 한 AMM, DeFi 및 IDO 플랫폼으로, 우리는 이를 통해 미래의 ZKR 세계가 어떤 모습일지 살펴볼 수 있습니다.
먼저, https://testnet.switch.mute.io/에 접속하여 자신의 지갑을 연결합니다. "Wallet" 페이지에서 Layer 2로 전송한 자산과 ZKR을 사용하여 절약한 가스 비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Swap" 페이지에서 거래를 진행할 수 있으며, 이때 Metamask에서 나타나는 것은 "Comfirm"이 아니라 "Sign"입니다. 즉, 거래가 이더리움 메인넷으로 전송되지 않으므로 가스를 지불할 필요가 없으며, 유일하게 지불해야 하는 것은 플랫폼 수수료 0.0003 ETH입니다.
"Pool" 페이지에서는 유동성 풀을 생성하거나 제공할 수 있으며, "Farming" 페이지에서는 LP 토큰을 스테이킹하여 수익을 얻을 수 있으며, 이 또한 가스 비용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같은 자산을 사용하더라도 ZKR 기반의 애플리케이션은 일반 사용자에게 훨씬 더 친숙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사용자가 조작에 더 능숙해지면 가스 비용은 더 이상 이더리움 DeFi 발전의 장애물이 되지 않을 것입니다. 물론, 미래의 Layer 2 세계는 DeFi 애플리케이션만 있는 것이 아니며, zkSync 뒤의 Matter Labs는 다양한 프로젝트와 협력하여 zkSync를 기반으로 한 ZKR 생태계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팀이 발표한 새로운 Ecosystem Hub 페이지에서는 많은 건설 중이거나 이미 출시된 애플리케이션을 볼 수 있습니다.
Metamask, 1inch Wallet 등 주요 지갑의 지원 외에도 Banxa와 MoonPay와 같은 거래소도 사용자가 zkSync에서 직접 암호화폐를 구매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Layer 1의 가스 비용을 완전히 우회할 수 있도록 합니다. Crypto.com, 후오비, OKEx 등 기관도 zkSync를 사용하여 직접 입출금 기능을 구축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크로스 체인 브리지 측면에서 Celer, ZigZag, LayerZero, PolyNetwork 등 인프라가 zkSync 2.0과 다른 L1, L2 간에 저렴하고 빠르게 자산을 이동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오라클 및 인덱스 측면에서 Chainlink와 Graph Protocol도 각각 zkSync에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할 것입니다.
미래에 zkSync는 더 많은 프로그래밍 언어 지원, L1-L2 간 정보 전송 효율성, 네트워크 비용을 더욱 낮추고 보안 성능을 높일 수 있는 zkPorter를 포함하여 추가 업그레이드를 진행할 것입니다. 이렇게 ZKR 세계는 매우 기대할 만한 가치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