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미디어가 본 디지털 위안화: 달러의 지위에 도전, 자금 관리 강화, 전자 결제 시장 주도권 회복
저자: 블랜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먼저 디지털 통화 연구를 시작한 국가 중 하나로, 2014년 프로젝트 시작 이후 7년이 지났으며, 그동안 여러 도시에서 시범 활동을 진행해왔다. 올해 6월 말 기준으로, 디지털 인민폐 시범 장면은 132만 개를 초과하고, 누적 거래 건수는 7075만 건 이상, 금액은 약 345억 위안에 달한다.
세계 디지털 통화 탐색에서 가장 앞선 국가 중 하나인 중국의 디지털 인민폐의 빠른 발전은 많은 외국 언론의 보도를 끌어왔으며, 많은 학자와 기업가들이 이에 대한 의견을 발표했다.
체인포착이 해외 주요 매체를 정리한 바에 따르면, 외국 시장에서 디지털 인민폐에 대한 견해는 대략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디지털 인민폐가 인민폐의 국제화를 촉진할 것이며, 미국은 중국의 보폭을 빠르게 따라잡기 위해 디지털 달러를 신속히 시작해야 한다는 견해이다; 두 번째는 디지털 인민폐가 사용자 프라이버시를 침해하고, 국내 자금 관리를 강화할 것이라는 견해이다; 세 번째는 디지털 인민폐가 중앙은행이 알리페이와 위챗으로부터 전자 결제 시장의 주도권을 다시 회수하는 데 유리하다는 견해이다.
1. 인민폐 국제화 촉진, 달러 지위 도전
중앙은행은 디지털 인민폐 개발이 국제 금융 개혁에 적극 참여하고 조정 대화를 위한 필요성이라고 명확히 제시했으며, 디지털 인민폐를 통해 국경 간 결제를 개선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올해 2월, 중국 인민은행 디지털 통화 연구소는 홍콩 금융 관리국, 태국 중앙은행, 아랍 에미리트 중앙은행과 함께 다자간 중앙은행 디지털 통화 브릿지 연구 프로젝트(m-CBDC Bridge)를 공동 발족하여 중앙은행 디지털 통화의 국경 간 결제에서의 응용을 탐색하고 있다.
일부 외신 및 학자들은 디지털 인민폐가 인민폐의 국제화를 더욱 촉진하고 달러의 패권 지위에 도전할 것이라고 보고 있다. 동시에 일부 업계 인사들은 미국 정부가 디지털 달러 출시를 가속화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있다.
올해 5월, 역사학자 니얼 퍼거슨은 블룸버그와의 인터뷰에서 디지털 인민폐가 미국의 수십 년 금융 패권에 대한 "잠재적 치명적 도전"이라고 밝혔다. 프랭클린 텐프턴 펀드 그룹의 수석 포트폴리오 매니저 마이클 하센스타브도 인터뷰에서 이것이 달러의 세계 준비 통화로서의 역할을 약화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리플 공동 창립자이자 회장인 크리스 라르센은 지난해 글을 통해 중국의 디지털 통화 리더십이 디지털 인민폐가 달러를 대체하여 세계 준비 통화가 될 "백년의 기회"라고 밝혔다. 그는 또한 미국이 디지털 인민폐의 보폭에 맞추기 위해 즉시 디지털 달러 계획을 시작해야 하며, 실리콘밸리를 글로벌 금융 기술 중심으로 확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페이스북 CEO 마크 저커버그는 미국이 그의 스테이블코인 프로젝트 리브라(현재 디엠)를 중단했을 때 "우리가 계속 나아가기 전에 몇 가지 중대한 위험을 해결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커버그는 "하지만 우리는 혁신하지 않는 위험에 대해서도 논의할 수 있기를 바라며, 특히 중국 중앙은행 디지털 통화를 고려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중국은 미국보다 훨씬 더 발전된 일부 인프라를 가지고 있으며, 미국은 기존 기반 위에 더 현대화된 결제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코인베이스 전 CTO는 중국이 이제 디지털 인민폐를 보유하고 있으며, 세계 다른 지역(많은 미국인과 중국인을 포함하여)에는 암호화폐가 있다고 말했다. 2030년까지 미국의 전통 금융 시스템은 아마도 3위에 그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의견은 디지털 인민폐의 국제화 시도가 성과를 거두지 못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영국 《파이낸셜 타임스》는 올해 2월 기사를 통해 전문 투자자를 제외한 모든 사람에게 중국 금융 시장에 진입할 기회가 복잡하고 불투명한 한, 외국인들은 디지털 인민폐를 보유할 동기가 거의 없다고 보도했다.
2. 전자 결제 시장의 주도권 회복
디지털 인민폐는 중앙 집중식 관리와 이중 운영 메커니즘을 채택하여, 인민은행이 디지털 인민폐의 한도 관리, 발행 및 폐기, 기관 간 상호 연결 및 지갑 생태계 관리를 직접 담당하며, 디지털 인민폐의 교환 유통 서비스에 대한 감독 관리를 수행하고, 독립적인 "디지털 인민폐" 앱을 운영하고 있다.
일부 외국 언론은 이러한 설정이 국내 전자 결제 시장의 주도권을 다시 회복하기 위한 것이라고 보고 있다.
블룸버그는 최근 중국 디지털 통화의 출범이 기술 회사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려는 더 광범위한 노력과 일치한다고 지적하며, "전자 인민폐가 실제로 유행하게 된다면, 중앙은행은 앤트와 텐센트의 네트워크에서 예금을 흡수하여 그들의 수익성 높은 대출 및 자산 관리 사업을 약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두 회사는 협력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한 분석가는 영국 《파이낸셜 타임스》와의 인터뷰에서 베이징이 디지털 인민폐를 이용하여 국가가 금융 기술 산업과 거대한 전자 결제 시장에 대한 통제권을 재확립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이 시장은 두 개의 대형 민간 기업인 앤트 그룹과 텐센트가 주도하고 있으며, 이 기술은 사실상 그들의 무현금 결제 플랫폼의 경쟁자가 될 수 있다.
3. 사용자 프라이버시 침해, 자금 관리 강화
공개된 정보에 따르면, 디지털 인민폐의 주요 목표 중 하나는 현금 사용을 대체하는 것이며, "소액 익명, 대액 법에 따라 추적 가능"의 원칙을 따르며, 실명 강도에 따라 각종 지갑에 대해 단일 거래 및 일일 거래 및 잔액 한도를 부여한다.
일부 해외 언론, 학자 및 기업가는 중국이 디지털 인민폐를 발행함으로써 사용자 프라이버시를 더욱 침해할 것이라고 보고 있다.
《뉴욕 타임스》는 "디지털 인민폐는 중국 정부가 자금 흐름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더 많은 권한을 즉시 부여할 수 있으며, 디지털 통화 시스템은 모든 거래를 기록할 수 있다. 이는 프라이버시에 대한 우려를 불러일으킨다"고 보도했다.
코인디스크도 보도에서 우려를 제기하며, "정부가 개인 거래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 대한 일부 제한을 제거함으로써 DCEP는 자유 사회가 오랫동안 고수해온 금융 프라이버시 기준에 중대한 위험을 초래한다"고 밝혔다.
CNN은 지난해 12월 디지털 인민폐에 대한 보도를 하며 "중국 당국은 자금의 갑작스러운 유출이 가져오는 도전에 대해 인식하고 있으며," 싱가포르 암호화 중개 회사 Finxflo의 공동 창립자 길링햄은 "디지털 인민폐의 도입은 그들이 더 높은 수준의 자본 통제를 시행할 수 있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