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에서 AI 자율성까지, 암호화 네트워크 경제의 세 가지 진화를 알아보세요
원제목:《On Network Economies》
저자:1a35e1
편집:심조 TechFlow
"우리가 설명하고 개선하려는 세계가 단순한 모델로 명확하게 설명될 수 없을 때, 우리는 복잡성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우리의 이론과 방법을 지속적으로 개선해야 하며, 단순히 그것을 직접 부정하는 것이 아닙니다." ------ Elinor Ostrom
앞으로 몇 년 동안, 블록체인 기반의 네트워크 경제는 우리가 오늘날 익숙한 전통적인 비즈니스 모델과는 전혀 다른 복잡하고 다양한 운영 모델을 발전시킬 것입니다.
네트워크, 시스템 또는 프로토콜을 연구할 때, 저는 종종 카르다셰프 척도(Kardashev Scale)를 연상하게 됩니다. 이는 문명이 에너지를 활용하고 통제하는 능력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유사하게, 우리는 네트워크가 경제적 가치를 포착하고 분배하는 능력을 통해 그 운영 효율성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가치 포착(Value Capture)은 네트워크가 운영 활동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고 사용자의 참여를 경제적 이익으로 전환하는 능력을 의미합니다.
가치 분배(Value Distribution)는 네트워크가 이러한 수익을 투자자, 개발자, 노동 기여자, 최종 사용자, 심지어 프로토콜 자체와 같은 이해관계자에게 어떻게 효과적으로 분배하는지를 설명합니다.
다양한 블록체인 네트워크를 평가할 때, 우리는 주로 다음 몇 가지 핵심 속성에 주목합니다:
적응성(Adaptability): 네트워크가 프로젝트 요구 사항과 시장 조건의 변화에 따라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는가?
투명성(Transparency): 수익 및 분배 메커니즘의 변화가 명확하고 예측 가능한가?
가치 정렬(Value-alignment): 수익 분배가 실제 가치 창출과 일치하는가?
포용성(Inclusivity): 수익 분배가 모든 이해관계자를 공정하게 포괄하는가?
카르다셰프 척도의 개념을 바탕으로, 저는 위의 기준을 사용하여 블록체인 기술의 진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세 가지 네트워크 경제 유형을 분류하려고 시도했습니다.
첫 번째 유형: 고정 메커니즘 네트워크 (Type I: Fixed Mechanic Networks)
첫 번째 세대 블록체인 네트워크와 토큰은 일반적으로 "물화 원칙"에 기반하여 전통 경제 모델의 설계 개념을 모방합니다. 예를 들어, 사전 설정된 토큰 발행 계획은 희귀 광물의 채굴 과정이나 희소 상품의 경제학을 모방하며, 스테이킹 및 투표 메커니즘은 전통적인 대중 투표 시스템이나 기업 거버넌스 모델을 차용합니다.
비트코인은 이 유형의 전형적인 대표로, 그 운영 규칙은 매우 높은 확실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2100만 개의 공급 한도, 고정된 채굴 보상 및 반감기, 그리고 작업 증명(Proof of Work)에 기반한 나카모토 합의. 이 시스템은 가치 저장 도구로서 잘 작동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시스템은 시장 변화에 대한 적응 능력이 부족하고 특정 이해관계자가 네트워크 가치를 과도하게 차지하는 "경제 포착" 문제에 직면해 있습니다.
이 문제는 Curve Finance의 veLocking 메커니즘과 다른 초기 가치 저장 내러티브 기반의 ERC-20 토큰에서 특히 두드러집니다. Curve의 고정 발행 계획은 실제로 시장이 토큰의 진정한 가치를 판단하는 것을 제한하며, Convex와 같은 외부 참여자가 프로토콜 규칙을 "이용"할 수 있는 기회를 창출하여 시스템 메커니즘이 외부 최적화자에 의해 어떻게 영향을 받을 수 있는지를 강조합니다.
두 번째 유형: 조정 가능한 매개변수 네트워크 (Type II: Governable Parameter Networks)
두 번째 유형의 네트워크는 매개변수 값을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이러한 체인 상 시스템은 오라클(예: Chainlink, UMA의 Optimistic Oracle) 또는 알고리즘 정보(예: 자동화된 시장 조성자 AMM)를 통해 동적으로 반응하여 적응 가능한 시스템을 형성하고, 거버넌스 프로토콜을 통해 변화하는 시장 조건에 대응합니다.
이러한 네트워크의 경제 설계는 일반적으로 이해관계자의 인센티브를 정렬하기 위해 다층 게임 이론 메커니즘을 도입합니다. 스테이블코인과 대출 프로토콜의 경쟁은 이러한 제품이 위험을 헤지하고 프로토콜의 안정적인 운영을 보장하기 위해 매개변수를 동적으로 조정하는 중요한 사례를 제공합니다.
Aave를 예로 들면, 이더리움 생태계에서 가장 초기의 체인 상 대출 프로토콜 중 하나로, 극단적인 시장 변동 기간 동안 210억 달러의 사용자 자금을 성공적으로 보호했습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프로토콜의 기본 메커니즘은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최적화가 필요합니다.
반면, 체인 외 구성 요소에 의존하지만 "프로토콜"이라고 주장하는 시스템은 종종 대리인 문제의 영향을 받기 쉽습니다. 이 문제는 대리인이 자신의 이익을 우선시하고 집단의 전체 이익을 무시할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Celsius는 분산형 프로토콜로 홍보되었지만 파산 신청 시 사용자들이 무담보 채권자로서 470억 달러의 채무를 지고 있었습니다.
따라서 진정한 체인 상 시스템은 알고리즘 제어와 분산 거버넌스를 통해 더 강력한 보호 능력을 제공하며, 권력 집중이나 인위적인 의사 결정 실수의 영향을 받기 어렵습니다.
세 번째 유형: 자율 네트워크 (Type III: Autonomous Networks)
세 번째 유형의 네트워크는 블록체인 기술이 완전 자율 시스템으로 진화하는 이론적 방향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시스템은 최소한의 인간 개입으로 운영되며, 환경 변화에 따라 높은 적응 조정을 할 수 있고, 시스템 간 정보 전달 효율성에서 매우 높은 능력을 보입니다.
현재 현실에서의 사례는 없지만, 이러한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자율 매개변수 최적화(Autonomous Parameter Optimization): 여러 AI 에이전트가 프로토콜을 지속적으로 최적화하며, 즉각적인 데이터 집계와 진화 알고리즘을 통해 시장에서 학습하고 시스템 매개변수를 동적으로 조정합니다.
알고리즘 가치 조정(Algorithmic Value Orchestration): 예측 모델과 보상 최적화에 기반하여, 동적 요금 구조가 네트워크 사용 상황에 따라 자동으로 조정되어 프로토콜의 장기 지속 가능성을 달성합니다.
동적 시스템 내의 거버넌스 (Governance in a Dynamical System)
블록체인 네트워크 경제의 복잡성은 시스템이 잠재적인 생존 위협에 대응할 수 있는 충분한 유연성을 갖추고, 운영의 균형 상태를 유지해야 함을 요구합니다. 이 과정에서 거버넌스 메커니즘은 네트워크의 각 발전 단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시스템 내재적 거버넌스 능력은 "어두운 숲" 환경에서 생존 우위를 제공합니다. "어두운 숲"은 일반적으로 블록체인 분야에서 경쟁이 치열하고 위협이 가득한 환경을 의미합니다. 거버넌스의 유연성과 안전성 간의 긴장은 네트워크가 외부 환경 변화에 어떻게 대응하는지에서 가장 직관적으로 드러납니다.
첫 번째 유형의 네트워크(예: 비트코인)는 엄격한 불변성을 통해 안전성을 우선 보장하는 반면, 두 번째 유형의 네트워크(예: Aave)는 매개변수 조정을 통해 더 강한 적응 능력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두 경우 모두 유연성과 안정성 간의 모순을 완전히 해결하지 못했습니다: 지나치게 유연성을 추구하면 안전성이 약화될 수 있고, 지나치게 안정성을 강조하면 시스템의 적응 능력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다중 중심 시스템과 공지 (Polycentric Systems and the Commons)
블록체인 거버넌스의 최선의 실천을 탐구하는 과정에서, 저는 노벨상 수상자 Elinor Ostrom의 공지 관리에 대한 선구적인 연구를 발견했습니다. 그녀의 연구는 토큰 경제학과 완전히 동일하지는 않지만, 실증 연구는 제3유형 시스템(Type III)을 실현하기 위한 명확한 로드맵을 제공합니다.
다중 중심 시스템이란, 여러 독립적인 의사 결정 중심이 일정 부분 자치권을 가지면서도 전체 시스템의 일부로서 협력하는 거버넌스 모델입니다.
다중 중심 시스템의 주요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여러 권위와 의사 결정 중심이 존재하며, 이들 중심은 형식적으로 상호 독립적입니다;
각 중심은 관할 범위와 책임에서 교차 및 상호작용할 수 있습니다;
통합된 프레임워크 내에서 각 중심은 상당한 자치권을 가집니다;
공식적 또는 비공식적 메커니즘을 통해 조정이 이루어집니다.
Ostrom의 여덟 가지 원칙
Ostrom은 전 세계 800개 이상의 사례에 대한 연구를 바탕으로 공지 관리에 대한 여덟 가지 원칙을 정리했습니다. 이러한 원칙은 블록체인과 암호화폐의 거버넌스에서도 중요한 의미를 갖습니다:
명확한 경계: 자원 사용 범위와 사용자 정의;
지역 환경에 적응한 규칙: 규칙은 지역에 맞게 조정되어야 함;
참여적 의사 결정: 이해관계자가 함께 규칙을 정함;
효과적인 모니터링: 규칙 준수를 보장함;
점진적인 제재 조치: 위반 행위에 대해 점진적으로 처벌함;
접근 가능한 분쟁 해결 메커니즘: 공정하고 효율적인 분쟁 해결 경로 제공;
조직의 권리: 커뮤니티 구성원이 자율적으로 조직할 수 있도록 허용;
중첩된 기업: 더 큰 거버넌스 프레임워크 내에 여러 수준의 조직 구조 포함.
우리가 토큰화된 경제가 미래의 트렌드라고 믿는다면, 거버넌스 기술이 이러한 신흥 시스템의 성공 여부에 핵심이라는 것을 인식해야 합니다.
결론 (Conclusion)
현재 토큰 경제학과 암호화폐 인프라에 대한 대규모 투자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우리는 거버넌스 시스템이라는 핵심 분야에 충분한 투자를 하지 않고 있습니다. 진정한 도전은 새로운 토큰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강력한 집단 의사 결정 및 감독 프레임워크를 구축하는 것입니다. 위험 투자자들이 토큰에 과도하게 집중하는 것은 단기 이익 유인과 분산 시스템의 장기 지속 가능성 간의 불일치를 반영합니다. 복잡하고 건전한 거버넌스 메커니즘이 없다면, 가장 정교한 토큰 설계조차도 지속적인 가치를 실현하기 어렵습니다.
첫 번째 유형에서 세 번째 유형으로의 네트워크 경제 진화는 단순한 기술 발전이 아니라, 더 탄력적이고 적응 가능하며 공정한 디지털 생태계를 구축하는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탐구입니다. 비트코인의 고정 메커니즘, Aave의 매개변수화된 거버넌스, 그리고 자율 네트워크의 이론적 잠재력은 이 진화 과정에 귀중한 경험을 제공합니다.
Ostrom의 다중 중심 시스템과 공지 관리에 대한 연구는 전통적인 거버넌스 지혜와 디지털 네트워크의 미래를 연결하는 중요한 다리를 놓았습니다. 그녀의 원칙은 수백 개의 실제 사례를 통해 검증되어 네트워크 거버넌스의 핵심 도전 과제를 해결하는 데 귀중한 지침을 제공합니다: 안전성과 유연성 간의 균형을 이루고, 공정한 가치 분배를 보장하며, 시스템의 완전성을 유지하면서 진화를 촉진하는 방법입니다.
네트워크 경제가 더 복잡한 방향으로 발전함에 따라, 성공의 열쇠는 다음과 같은 다양한 접근 방식을 통합하는 데 있을 수 있습니다:
첫 번째 유형 네트워크의 "안전 우선" 사고: 고정 규칙을 통해 시스템 안전 보장;
두 번째 유형 시스템의 적응 능력: 동적 매개변수 조정을 통해 변화에 대응;
세 번째 유형 네트워크의 자율 잠재력: AI와 알고리즘을 통해 최소한의 인간 개입 구현;
다중 중심 거버넌스의 실증적 지혜: 다층적이고 다중 중심의 거버넌스 구조를 통해 조정 및 발전.
네트워크 경제의 미래는 기술 능력이나 대중 문화에 의해 결정되지 않으며, 오히려 모든 이해관계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이러한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는지에 달려 있습니다. 네트워크가 지속적으로 진화함에 따라, 인공지능, 동적 매개변수 최적화 및 새로운 거버넌스 구조의 융합은 우리가 아직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는 경제 조직 형태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확실히, 나아가는 길은 복잡성을 수용해야 하며, 이를 회피하려고 해서는 안 됩니다. Ostrom이 제안한 것처럼, 우리의 임무는 이러한 시스템을 단순화하는 것이 아니라, 이를 이해하고 관리하기 위한 더 나은 프레임워크를 개발하는 것입니다. 다음 세대의 네트워크 경제는 해결하려는 문제만큼 복잡해야 하며, 모든 참여자에게 친근하고 공정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