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verFi가 GameFi의 "구세주"가 될까요?
저자: Wenser, Odaily 스타일보
8월 12일, "예일대학교 교수"가 발표한 논문에서 "ServerFi" 개념을 제안하며 "자산 합성을 통해 사유화를 실현하고, 높은 유지율을 가진 플레이어에게 지속적인 보상을 제공하는 모델에 초점을 맞춘다"고 주장했다. 또한 "연구 결과는 ServerFi가 플레이어 참여도를 유지하고 게임 생태계의 장기적인 지속 가능성을 보장하는 데 특히 효과적이며, 미래의 블록체인 게임 발전에 유망한 방향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이후 0xUClub 창립자 Jack의 검증에 따르면, 이 문서는 예일대학교의 이름을 빌린 "모조 콘텐츠"일 가능성이 높지만, GameFi 분야에 기대를 가지고 있는 사용자들은 여전히 질문을 던진다: ServerFi가 향후 GameFi 게임의 "구세주"가 될 수 있을까?
본 문서는 다양한 관점을 간략히 정리하고 이 질문에 대한 분석과 답변을 제공한다.
시장 관점: 찬반이 엇갈리지만 전반적으로 긍정적
ServerFi 개념이 등장한 이후, 시장에서는 상당한 논의가 일어났다. 개념의 자세한 내용은 "예일대학교: ServerFi, 게임과 플레이어 간의 새로운 공생 관계"라는 글을 참고할 수 있다.
전반적으로, 중국 지역 KOL 및 종사자들의 긍정적인 견해가 많으며, 심지어 Web3 MMORPG 게임 MetaCene은 X 플랫폼 계정의 접미사를 "ServerFi"로 변경하고 "세계 최초의 ServerFi 제품을 출시하게 되어 기쁘다"고 발표하며 "서버를 당신(플레이어) 소유로 만들자"고 단언했다. 다음은 일부 대표적인 견해이다:
Folius Ventures 투자자이자 Myshell 팀의 일원인 Aiko는 "내가 보기에는 ServerFi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 서로 다른 서버 간의 무역 및 세금
- 서버 문화의 다양성: 높은 경쟁과 평화
- 새로운 생산 및 소비 곡선
- 단일 환경에서 과도한 개발로 인한 자원 고갈 및 죽음의 나선 문제 해결
- 서버 관리자를 위한 명예와 수익 제공
만약 경제 시스템이 지속 가능하지 않다면, 그것은 복잡성이나 다양성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열대 우림과 같다. 넓은 환경(또는 지도)과 다양한 종이 있을 때 자연스럽게 균형을 이루게 된다."
암호화 연구자이자 중국어 KOL인 Haotian은 "ServerFi의 새로운 운영 프레임워크는 3가지 특징을 포함한다: 1) 장기 참여 및 가치 창출에 중점을 둔다; 2) 폰지 구조적 위험을 줄이고 투기 행위를 감소시킨다; 3) web3의 탈중앙화 커뮤니티 정신에 의해 구동된다"고 밝혔다.
암호화 KOL Dr. Jinglee는 이 주제에 대해 "학술 논문으로서 '엔트로피 증가' 이론과 시뮬레이션 실험 방식으로 증명하는 과정에 대해 몇 가지 의문이 있다. 플레이어가 서버에 대한 '기여'의 정의 등도 불명확한 부분이 있다"고 말했다.
AC Capital 파트너이자 Open-Rug의 주최자인 Crypto V는 "이 모델은 play to earn과 본질적으로 다르지 않으며, '게임에 참여하면 돈을 벌 수 있다'는 가정을 '게임 자체가 돈을 벌 수 있다'로 바꾼 것일 뿐, 본질적으로는 (플레이어에게 수익을 나누는) 배당금 구조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Eureka Guild 공동 창립자이자 GameFi 분야 연구원인 Leslie는 "ServerFi는 확실히 유용한 논리를 제시하지만, 본질적으로 FOMO의 개념이 되어서는 안 된다. Web3 게임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게임성, 게임적 요소, 경제적 적합성 등의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핵심 플레이어와 신규 및 기존 플레이어 간의 균형을 어떻게 유지할 것인지가 게임에서 중점적으로 고려해야 할 문제"라고 생각한다.
보시다시피, ServerFi의 실현에 대해 현재 모두가 "서버 소유권", "게임 프로젝트와 플레이어 간의 이익 분배" 등의 관점에서 이야기할 수밖에 없으며, "경제 모델", "게임 생애 주기", "구체적인 자원 교환" 등의 주제를 깊이 있게 논의하기는 어렵다. ServerFi 원문도 수학적 적합 추론에 더 중점을 두고 있으며, 실제 프로젝트 비교보다는 그러하다.
2종 경제 모델에서의 플레이어 기여 가치 데이터
ServerFi: "상상의 이익 공동체"를 구축하다
자세히 살펴보면, ServerFi의 핵심 명제는 사실 다음 3가지 측면에 주로 있다:
3대 핵심 명제: 게임 인원, 서버 가치, 기여 보상 비율
첫째, 게임 인원은 ServerFi가 성립하는 전제조건이다. 게임 인원이 일정 규모를 충족하지 못하면 ServerFi의 조건은 여전히 성립하지 않는다: 충분한 플레이어가 없고, 상대적으로 "구 플레이어"와 "신규 플레이어"가 없으며, "게임 내 자산"의 생성 경로가 없다. 이는 현재 GameFi 분야 게임의 큰 "어려움" 중 하나로, 게임성이 부족하고 게임 플레이어 수가 상대적으로 적다는 점이다.
둘째, 서버 가치는 ServerFi 운영의 핵심이다. 게임 플레이어의 계층 구조가 점차 구축되고 게임 내 경제 체계가 점차 완비되면, 내부 화폐, 아이템 등의 "자산" 거래가 이루어져야 이 서버는 대응하는 "계량 가능한 가치"를 갖게 된다. 일반적으로 이는 법정 화폐 체계와 연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ServerFi 운영의 핵심은 축적을 통해 가치를 생성하는 "서버"에 있다. 이는 많은 사람들이 여전히 전설 사설 서버의 구축과 플레이에 많은 돈을 쓰는 이유이기도 하다. 대형 R 플레이어는 999의 쾌감을 좋아하고, 사설 서버 제공업체는 그에 맞는 서비스 장면과 경험을 제공한다. 만약 이 서버의 "가치"가 축적되거나 화폐화될 수 없다면, ServerFi 역시 운영될 수 없다.
마지막으로, 기여 보상 비율은 ServerFi에서 조정 가능한 매개변수이다. 전통적인 GameFi 게임인 Axie Infinity, STEPN 등에서 조정 가능한 "수치 매개변수"가 아이템의 생산 속도, 토큰의 생산 속도라면, ServerFi는 "매개변수의 모호화 및 차원 상승"을 실현했다고 할 수 있다: 게임 플레이어가 게임 내 자산을 얻고 합성하는 것은 기여의 첫 단계일 뿐이며, 보상의 양과 속도는 "게임 서버의 운영, 운영"과 "서버 간의 거래"에 더 많이 의존한다. 이전의 GameFi 게임은 단지 "플레이어 PVP", "플레이어 시스템 PVE"의 차원에 국한되어 있었고, 게임 프로젝트 측은 "신의 시각"으로 "신"의 역할 권한을 행사했지만, 이제는 플레이어, 서버, 프로젝트 측이 "이익 공동체"를 형성해야 하며, 이를 통해 서로 다른 역할 주체 간의 "서버"라는 핵심 매체에 대한 투자, 유지 및 확장 발전의 적극성을 자극해야 한다.
ServerFi: 상상 속의 대안 "폰지 해법"
위의 핵심 명제를 바탕으로, 우리는 ServerFi 유형의 GameFi 게임이 다음 단계에서 "청정으로 폰지를 양육"하거나 "청정으로 폰지를 억제"하는 작업이 필요하다는 것을 계속 유도할 수 있다:
게임의 감정적 가치, 오락적 가치는 ServerFi 모델이 해결할 수 없는 부분이며 GameFi 게임 자체 제품이 제공해야 한다. 이는 "아이템 수집", "카드 추첨", "사회적 순위", "현실 피드백" 등이 될 수 있으며, 조금 부족해도 괜찮지만 없어서는 안 된다. 그렇지 않으면 아무도 "참여"하지 않을 것이다.
서버의 소유권, 게임 내 자산 합성 조건 및 두 가지 간의 명확한 관계는 ServerFi 모델 설계 초기 단계에서 고려해야 할 문제이다. 이 과정에서 "프로젝트 측, 대형 R 플레이어, 소형 R 플레이어, 무료 플레이어" 간의 이익 분배와 "게임 내 자산과 게임 외 서버의 경제 모델 설계"가 포함된다.
유사한 다중 서명 프로토콜의 "벌금 메커니즘" 또는 "처벌 메커니즘"을 도입하여 "기여 보상 비율"의 조정 행동이 동적 균형 또는 각 당사자가 이의가 없는 상태에 있도록 보장해야 한다. 이 점은 현재 GameFi 게임이 부족하거나 무능력한 부분으로, 결국 비용의 대부분이 프로젝트 측에 있기 때문이다. "빠른 수확"과 "단기 이익"을 실현하기 위해, 성공 정도와 관계없이 프로젝트 측은 유혹을 견디기 어려워하며, 보상 주기를 늘리기 어렵다. 반대로, 플레이어는 시간, 에너지, 자금 등의 비용을 투자한 후 "장기주의"를 실현하기 어렵다.
따라서 ServerFi의 진정한 실현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질 수 있는 일이 아니다.
결론: 서버 범위 확장이 "게임 규칙"을 변화시킬 수 있다
수많은 GameFi 프로젝트 측과 플레이어는 꿈의 서유기를 극찬하는데, 이는 특정 시대적 배경과 다양한 게임 인구 사이에서 "흔들리지만 안정된" "줄타기"를 찾아내어 게임성과 경제성의 이중 적합을 실현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유사한 사례가 하나의 모델이 되기는 어렵다.
이에 비해 ServerFi는 "새로운 시각"을 제공하며, 특히 다양한 "서버 유형"을 확장한 후 더욱 그러하다. 아래 그림은 GameFi 게임 산업과의 관계는 크지 않지만, 참고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 즉, 기존의 "게임 서버" 개념을 보편화하면 서로 다른 서버 간에도 "플레이어 길드"로 간주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더 넓은 범위 내에서 유동적인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고, GameFi 게임의 구축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
결국, 다시 말해, 지구 전체가 거대한 "서버"가 아닌가?